상품안내
고객센터
우리지역채널
광고신청
회사소개
상품안내 Main
다양한 할인으로 최고의 서비스를 최저 가격으로 누리세요.
저렴하게 볼수있는 푸른방송의 고화질케이블방송
고화질, 다채널로 즐기는 푸른방송의 디지털케이블방송
다양한 종류와 최고의 속도, 합리적인 가격 푸른방송 인터넷 서비스
뭉칠수록 요금이 저렴해지는 동등결합 서비스 상품
요금 걱정 없는 최저가격의 집전화와 가입자간 무제한 무료통화
최신 생활가전제품을 부담없는 가격으로 만나보세요.
지난 드라마, 영화, 예능 리모컨 하나로 편안한게 즐긴다
고객센터 Main
신청내역
다양한 혜택과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푸른방송 지금바로 가입하세요!
푸른방송 서비스 이용시 불편사항 및궁금증이 있으신가요?
빈번하게 발생하는 장애를 빠르게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 드립니다.
이사, 주소이전으로 인한이전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고객님이 이용하신 서비스의 내역을기간별로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님께서 매월 납부하시는서비스요금 결제방법을변경하실 수 있습니다.
고객님이 사용하시는 인터넷 상품의 속도가 궁금하신가요?
우리지역채널 No.1Main
푸른방송 뉴스
우리지역의 생생한 소식을 빠르게 전합니다.
지역채널 다시보기
지역채널 방송프로그램 VOD 다시보기
지역채널 편성안내
푸른방송 지역채널 편성안내표(매주 화, 금 업데이트 됩니다)
광고신청 Home
케이블TV가 지역사업자의고민을 해결해 드립니다.
광고신청 소개
기존의 공중파에 비해 월등히 저렴한 비용으로방송광고의 기회를 제공하는 지역대표 방송매체
포트폴리오
푸른방송에서 제작한 다양한포트폴리오를 소개해드립니다.
고객만족은 푸른방송이 추구하는최고의 가치입니다.
푸른방송은 언제나 고객의 가치를 위해 최선의 노력하겠습니다.
푸른방송 오시는 길을 안내합니다.
대구시는 2021년 주민참여예산 편성을 위한 주민제안사업을 이번 달 12일부터 4월 30일까지 50일간 접수를 합니다. 주민참여예산은 지역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해 편성하는 예산으로 올해 총규모는 150억 원이며, 이번 공모 규모는 130억 원입니다. 이번 대상 분야는 시정참여형 90억 원과 지역참여형 40억 원이며, 그밖에 읍면동 지역회의 지원 사업 20억 원은 읍면동 자체사업 발굴로 별도로 추진합니다. 먼저 시정참여형 사업은 시민 생활과 밀접한 시정 주요 분야사업을 대상으로 하며, 지역참여형 사업 은 지역 사회 주민불편 해소를 위한 생활밀착형 사업입니다. 마지막으로 읍면동 지역회의 지원 사업은 행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마을단위 문제 해결을 위해 숙의와 토론 과정을 거쳐 발굴.선정하는 사업입니다. 제안된 사업은 숙의.심사 과정을 통해 사업 순위를 정하고, 시민투표와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투표를 거쳐 선정한 후 의회 승인으로 최종 주민참여예산사업으로 확정됩니다. 한편 시에서 코로나19 감염병의 지역사회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 이용 활성화와 사이버 예산아카데미 개설 등 비대면 방식으로 주민참여예산 사업을 추진합니다. 올해로 시행 6년 차로 접어든 대구 주민참여예산사업은 2015년부터 시작해 2019년까지 1만(5,584억 원 규모)여 건의 사업제안이 있었으며, 이 중 선정된 1,600여 건(585억 원 규모)은 산업이 완료됐거나 현재 진행 중입니다.
이전글
2020년 3월 17일 푸른방송 뉴스
다음글
대구시, 코로나19 긴급 경제지원 예산 편성해
푸른방송 서비스가 궁금하시나요?
지금 바로 가입상담신청 053-551-2000
대구시는 2021년 주민참여예산 편성을 위한 주민제안사업을 이번 달 12일부터 4월 30일까지 50일간 접수를 합니다. 주민참여예산은 지역민이 주도적으로 참여해 편성하는 예산으로 올해 총규모는 150억 원이며, 이번 공모 규모는 130억 원입니다. 이번 대상 분야는 시정참여형 90억 원과 지역참여형 40억 원이며, 그밖에 읍면동 지역회의 지원 사업 20억 원은 읍면동 자체사업 발굴로 별도로 추진합니다. 먼저 시정참여형 사업은 시민 생활과 밀접한 시정 주요 분야사업을 대상으로 하며, 지역참여형 사업 은 지역 사회 주민불편 해소를 위한 생활밀착형 사업입니다. 마지막으로 읍면동 지역회의 지원 사업은 행정복지센터를 중심으로 마을단위 문제 해결을 위해 숙의와 토론 과정을 거쳐 발굴.선정하는 사업입니다. 제안된 사업은 숙의.심사 과정을 통해 사업 순위를 정하고, 시민투표와 주민참여예산위원회 투표를 거쳐 선정한 후 의회 승인으로 최종 주민참여예산사업으로 확정됩니다. 한편 시에서 코로나19 감염병의 지역사회 확산 방지를 위해 온라인 이용 활성화와 사이버 예산아카데미 개설 등 비대면 방식으로 주민참여예산 사업을 추진합니다. 올해로 시행 6년 차로 접어든 대구 주민참여예산사업은 2015년부터 시작해 2019년까지 1만(5,584억 원 규모)여 건의 사업제안이 있었으며, 이 중 선정된 1,600여 건(585억 원 규모)은 산업이 완료됐거나 현재 진행 중입니다.